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11)
    • Curated by Tinge of Soul (1)
    • Curation & Gallery (2)
    • Our Growth Journal (10)
    • Executive Summary (4)
    • Local Stories (0)
    • Carpe Diem (49)
      • Tea Story (14)
      • Our Diary (8)
      • scribble(끄적임) (27)
    • 데이타베이스 (235)
      • 큐레이션 (63)
      •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53)
      • 차(茶) 관련 자료 (64)
      • 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41)
      • 철학 및 사회 변화 (6)
      • 트렌드 변화 (0)
      • 로컬 활성화 (2)
      • 문화 (6)
    • 트렌드 분석 (4)
      • 기업분석 (2)
      • 시장분석 (2)
    • English version (5)
      • Tea Story (0)
      • Curation (3)
      • Brand Story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암모니아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물리적 인프라 구축 방안

    2024.11.24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시장개요- 수소 파생물

    2024.11.23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시장개요 - 수소

    2024.11.22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서론

    2024.11.21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요약문

    2024.11.20 by TOS_lab

  •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요약본

    2023.06.10 by TOS_lab

  • [에너지 - 수소 #38]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정책 제언

    2023.06.10 by TOS_lab

  • [에너지 - 수소 #36]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재생 암모니아 진흥 동인

    2023.06.10 by TOS_lab

  • [에너지 - 수소 #34]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지속가능한 생산

    2023.06.10 by TOS_lab

  • [에너지 - 수소 #33]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암모니아 수요

    2023.06.10 by TOS_lab

  • [에너지 - 수소 #31]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4장 무탄소 암모니아 미래 전망 - 암모니아 경제 전망

    2023.06.09 by TOS_lab

  • [에너지 - 수소 #29]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4장 무탄소 암모니아 미래 전망 - 재생 암모니아 – 타 에너지 수송용 캐리어

    2023.06.09 by TOS_lab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물리적 인프라 구축 방안

물리적 인프라 구축 요건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암모니아, 메탄올, 케로젠)의 국제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전체 가치사슬에 걸친 물리적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생산, 저장, 유통, 최종 사용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자원 가용성과 인프라 개발 계획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전력과 물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며, 메탄올과 케로젠의 경우 지속가능한 탄소 공급원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해 수소 생산 설비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의 확충이 필요하며, 전력망의 확장과 개발도 수반되어야 합니다. 또한 각 파생물의 생산을 위한 전용 플랜트 시설 투자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은 장기 에너지 시나리오(LTES)와 에너지 시스템..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4. 09:37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시장개요- 수소 파생물

1. 암모니아 1.1 암모니아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 암모니아는 현재 전 세계 생산량의 85%가 합성 질소 비료 생산에 사용되는 핵심 화학물질입니다. 현재 암모니아 생산으로 인한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5억 톤으로,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를 차지합니다. 또한 전 세계 수소 수요의 45%가 암모니아 생산에 투입되어, 수소의 두 번째로 큰 수요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으로의 전환은 화학 산업의 탈탄소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IRENA의 전망에 따르면, 2050년까지 암모니아 시장 규모는 6억 8,8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농업용 비료, 선박 연료, 수소 운반체로서의 수요 증가에 기인합니다.  1.2 생산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3. 21:51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시장개요 - 수소

수소 시장의 현황과 전망 현재 전 세계 수소 생산은 대부분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간 약 13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어 기후변화 대응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2050년 넷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저탄소 수소 생산량을 현재보다 5배 증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해조 설비와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의 대규모 확충이 필수적입니다. 현재는 비용이 주요 장애요인이지만,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 하락과 전해조 설비 비용 감소 추세를 고려할 때, 2030년대에는 특히 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수소가 화석연료 기반 수소와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생에너지 수소의 생산과 무역 전망 재생에너지 조건이 우수한 지역은 자본, 토지, 용수 확보가 가능하다는 전..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2. 13:46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서론

1.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구로서의 국제 무역 현재 암모니아, 메탄올, 케로젠의 생산은 화석 연료의 사용이나 직접 전환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 방식으로 생산된 물질들은 현재 국제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으며, 각 물질의 구체적인 시장 규모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대규모 재생에너지 기반 생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합니다:재생에너지 수소의 안정적 공급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질소메탄올과 e-케로젠 생산을 위한 바이오 기반 탄소(바이오매스 성장 과정에서 대기 중 포집된 탄소)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에너지 시장과 참여자들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특히 국제 무역은 수요가 많은 지역과 공급이 풍부한 지역을 연결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의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1. 11:16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요약문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암모니아, 메탄올, e-케로젠 등)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50년까지 대부분의 에너지 소비는 재생에너지 전력이나 바이오 연료로 충족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학 제조, 비료 생산, 정제, 철강 제조와 같은 산업 분야의 원료나 해상 운송 및 항공과 같은 중장비 운송의 e-연료처럼 탈탄소화가 어려운 부문에서는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이 필수적입니다. IRENA에 따르면, 이러한 부문의 수소 사용량은 2050년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약 1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각 지역의 기후 조건과 경제 상황에 따라 재생에너지 수소, 수소 파생물 원료 및 e-연료의 생산 비용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많은 국가와 지역에서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0. 08:18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요약본

목차 1. 도입 요약 암모니아는 제품생산을 위한 기초화학물질 7종 중 하나임암모니아는 에틸렌, 프로필렌, 메탄올 및 BTX 방향족(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과 함께 모든 화학제품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7가지 기본 화학 물질 중 하나임황산 다음으로 대량생산되는 화학물질임 현재 생산되는 암모니아의 5분의 4는 질소비료(요소 및 질산암모늄) 생산에 활용됨질소비료 생산을 통해 세계 인구의 약 절반을 위한 식량 생산을 지원함 향후 암모니아는 비료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암모니아 수요는 2050년에 2020년 대비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무탄소 연료 및 수소 운반체로 암모니아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암모니아가 추가로 필요. 2050년의 수요는 2020년의 약 3..

Executive Summary 2023. 6. 10. 01:38

[에너지 - 수소 #38]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정책 제언

정책 및 지원은 재생 암모니아의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함 정부는 다음의 정책 추진을 통해 재생 암모니아로의 전환을 진흥할 필요가 있음 CO2배출에 대한 높은 비용 산정 CO2 톤당 약 USD 60-90일 경우 온실가스 배출하는 화석 기반 암모니아 대비 CCS가 있는 화석 기반 암모니아가 경쟁력을 가짐 CO2 톤당 최대 USD 150인 경우 화석 기반 암모니아 대비 재생 암모니아가 경쟁력을 가짐 장기적으로 재생 암모니아는 CCS가 있는 화석 기반 암모니아 대비 비용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CCS는 현재 암모니아 시설을 탈탄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CCS를 사용하여 새로 건설된 화석 기반 암모니아 공장은 매우 낮은 천연가스 가격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장기적으로 자산이 좌초될 수 있음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3. 6. 10. 01:28

[에너지 - 수소 #36]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재생 암모니아 진흥 동인

재생 암모니아는 탈탄소 및 화석연료 폐지 등의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주도됨 재생 암모니아는 기존의 비료 뿐만 아니라 선박 및 발전용 연료 등에서 탄소 발자국을 완화하고 궁극적으로 탄소배출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잠재력을 가짐 재생 암모니아는 국제 무역을 통해 재생 에너지원의 전달 매개체가 될 것으로 보임 재생 암모니아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책 및 규정 필요 EU의 에너지 로드맵은 2050년까지 온실 가스 배출량을 80 ~ 95% 감소를 규정함에 따라 에너지의 약 3분의 2를 재생 자원으로 전환 필요 장기적으로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진행 될 것으로 보임 IRENA에 따르면 2050년까지 세계 에너지 관련 CO2 배출량의 70% 감축필요..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3. 6. 10. 01:11

[에너지 - 수소 #34]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지속가능한 생산

전기분해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를 사용한 전기분해 기반 수소 생산은 탈탄소 암모니아의 중심 기술로 부상할 전망임 재생 암모니아 플랜트가 이미 발표되었으며 2025년경에 기가와트 규모로 가동될 예정임 소규모 상업 시설은 2021년 푸에르토야노(스페인)에서 가동됨 알칼리 전해조는 약 100년 동안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PEM 및 고체 산화물 등 새로운 기술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고 있음 알칼리 및 PEM 전기분해는 현재 메가와트 규모로 이용 가능하나 유사 규모의 고체산화물 전기분해는 2023년에 실용화될 것으로 보임 전기분해 기반 재생 암모니아의 잠재력은 주로 재생 전력 비용 절감 및 전해조의 자본 비용 절감, 관련 기술의 효율성 및 내구성 향상에 달려있음 바이오매스 바이오매스는 또한 수소 및 바이오제닉 CO2..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3. 6. 10. 00:55

[에너지 - 수소 #33]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5장 암모니아 잠재성 및 장애물 - 암모니아 수요

암모니아는 생산방식 및 생산원료와 관계없이 모두 그 화학구조가 동일하므로 현재 사용되는 화석 암모니아는 모두 재생 암모니아로 대체 가능함 주요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 암모니아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연간 암모니아 생산량은 현재 183 Mt에서 2025년 200 Mt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해양 연료 및 전력분야가 추가될 경우 2050년 암모니아 수요는 688 Mt만 톤(1.5°C 시나리오 기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또한, 이 중 566 Mt 또는 암모니아 생산량의 약 80% 이상이 재생 암모니아일 것으로 예상됨 암모니아 수요의 약 55%를 차지하는 요소는 암모니아와 CO2가 모두 필요한 바, 재생 암모니아로 대체하기 어려움. 바이오매스 또는 직접 공기 포집과 같은 탄소원을 활용하여 요소에서 질..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3. 6. 10. 00:50

[에너지 - 수소 #31]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4장 무탄소 암모니아 미래 전망 - 암모니아 경제 전망

향후 암모니아는 탈탄소 경제에서 주요 에너지자원이 될 것으로 예상됨 암모니아는 수소 운반체 및 해상 연료, 발전원으로 활용가능하며 이와 관련하여 지난 몇 년 동안 저탄소 암모니아 생산 및 활용 프로젝트가 발표됨 특히 2020년부터 2050년까지 관련하여 다양한 프로젝트가 추진될 예정임 암모니아 수요는 현재 약 183 Mt의 수요에서 2050년까지 688 Mt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 수요의 절반 이상이 에너지 시장 관련된 암모니아 신규수요임 암모니아가 수소경제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할 것은 명확하며 이는 시점의 문제임 각 국은 암모니아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정책연구 및 관련 계획을 수립 중임 암모니아 에너지 협회(Ammonia Energy Association)와 같은 국제 기구와 일본의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3. 6. 9. 23:59

[에너지 - 수소 #29] IRENA Innovation Outlook Ammonia 2022 - 제4장 무탄소 암모니아 미래 전망 - 재생 암모니아 – 타 에너지 수송용 캐리어

도입 저탄소 암모니아는 수소 운반체 및 연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액체 유기 수소 운반체 및 메탄올, 합성 메탄과 같은 탄소 기반 바이오 연료, 전기 연료로도 활용 할 수 있음 암모니아의 에너지 밀도는 탄소기반화석연료 대비 유사함 암모니아는 킬로그램당 22.5MJ의 중량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이는 메탄올(22.7MJ/kg), 에탄올(29.7MJ/kg) 및 석탄(15MJ/kg)과 같은 탄소 기반 연료에 필적함 암모니아의 에너지 밀도는 중량 기준으로 천연 가스(55MJ/kg), 디젤(45MJ/kg) 및 수소(142MJ/kg)보다 낮음 액체 암모니아의 체적 에너지 밀도는 리터(L)당 12.7MJ로 중유(35MJ/L)보다 낮지만 메탄올(15MJ/L)에 필적하며 액화 수소(8.5MJ/L)보다 높음 따라서 암모니아..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3. 6. 9. 23:5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nge of Soul
틴지오브소울 © Tinge of Soul Story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