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11)
    • Curated by Tinge of Soul (1)
    • Curation & Gallery (2)
    • Our Growth Journal (10)
    • Executive Summary (4)
    • Local Stories (0)
    • Carpe Diem (49)
      • Tea Story (14)
      • Our Diary (8)
      • scribble(끄적임) (27)
    • 데이타베이스 (235)
      • 큐레이션 (63)
      •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53)
      • 차(茶) 관련 자료 (64)
      • 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41)
      • 철학 및 사회 변화 (6)
      • 트렌드 변화 (0)
      • 로컬 활성화 (2)
      • 문화 (6)
    • 트렌드 분석 (4)
      • 기업분석 (2)
      • 시장분석 (2)
    • English version (5)
      • Tea Story (0)
      • Curation (3)
      • Brand Story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데이타베이스

  • (번역) 자기 이야기의 힘 : 심리학자 댄 맥애덤스와의대화

    2025.03.24 by TOS_lab

  • 정책의제 설정과 단절적 균형 이론의 정보처리적 확장

    2025.03.21 by TOS_lab

  • 트로얀과 빅록포인트 원자력 발전소 해체의 경제성 및 정책적 시사점

    2025.03.13 by TOS_lab

  • 미국의 수압파쇄 논쟁 : 환경 영향, 경제 효과와 정책 서사 분석

    2025.03.06 by TOS_lab

  • 정책서사 프레임워크의 이해 : 정책을 움직이는 이야기

    2025.03.05 by TOS_lab

  • (논문 번역 및 요약) 버닝맨의 교훈 : 모임과 관객 개발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2024.12.26 by TOS_lab

  • 가격 안정성: 가격 안정성과 고객 충성도 - 비즈니스 관점

    2024.12.17 by TOS_lab

  • 포스트모던 브랜딩 : 기업-소비자 관계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2024.12.09 by TOS_lab

  • (논문 번역) 브랜드는 왜 문제를 일으키는가? 소비자 문화와 브랜딩에 대한 변증법적 이론

    2024.12.09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재생에너지 수소와 파생물의 제도적 기반 구축

    2024.11.25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물리적 인프라 구축 방안

    2024.11.24 by TOS_lab

  •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시장개요- 수소 파생물

    2024.11.23 by TOS_lab

(번역) 자기 이야기의 힘 : 심리학자 댄 맥애덤스와의대화

서론인간은 본능적인 이야기꾼입니다. 우리는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며, 끊임없이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다듬고 재구성합니다. 이러한 이야기 만들기는 세상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방법이며, '내러티브 정체성'이라는 개념을 연구하는 노스웨스턴 대학교의 심리학 교수 댄 맥애덤스는 이 분야의 선구자입니다.맥애덤스에 따르면, 내러티브 정체성 이론은 사람들이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자신을 마치 역사가처럼 여기기 시작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즉, 과거를 의미 있게 재구성하여 현재의 자신을 이해하고 미래의 방향을 설정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맥애덤스는 NBN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내러티브 정체성의 형성 과정사람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지만, 그 중심에는 삶을 통합..

데이타베이스/철학 및 사회 변화 2025. 3. 24. 22:27

정책의제 설정과 단절적 균형 이론의 정보처리적 확장

1. 서론: 안정과 급변을 설명하는 단절적 균형 이론 정책과 정치 분야에서 단절적 균형 이론(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PET)은 장기간의 안정성과 간헐적인 급격한 변화를 동시에 설명하려는 중요한 이론적 틀이다. Baumgartner와 Jones는 1993년 저서 Agendas and Instability in American Politics에서 대부분의 정책이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다가도 때때로 드물게 급격한 변화를 겪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한 정책 분야에서 수십 년간 미미한 변화만 지속되다가, 어느 순간 의제화와 함께 정책 방향이 크게 전환되는 ‘단절’이 발생한다. PET는 이러한 정책 안정기와 격변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정책의제 설정 과정에서 ..

데이타베이스/철학 및 사회 변화 2025. 3. 21. 22:54

트로얀과 빅록포인트 원자력 발전소 해체의 경제성 및 정책적 시사점

1. 서론  트로얀 원자력 발전소(이하 트로얀)와 빅록포인트 원자력 발전소(이하 빅록포인트)는 미국에서 상업 가동을 종료하고 해체가 완료된 원전 사례로, 각각 가압경수로형(PWR)과 비등경수로형(BWR)의 대표적 해체 프로젝트이다. 트로얀(1095 MWe 규모 PWR, 오리건주 소재)은 1976년 상업 운전을 시작하여 1993년 조기 영구정지 후 곧바로 해체 절차에 돌입하였고, 사용후연료를 제외한 모든 시설과 토지가 2005년에 규제해제로 공개될 만큼 신속한 해체가 이루어졌다. 빅록포인트(67 MWe BWR, 미시간주 소재)는 1963년 가동을 시작하여 1997년 영구정지된 후 해체를 진행하였으며, 2006년까지 대부분의 부지를 녹지화(greenfield) 상태로 복원하고 2007년 초에 부지의 80%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5. 3. 13. 20:49

미국의 수압파쇄 논쟁 : 환경 영향, 경제 효과와 정책 서사 분석

1. 서론 미국에서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 흔히 "프래킹(fracking)"으로 불림)는 지난 수십 년간 에너지 생산을 혁신적으로 증가시킨 동시에 환경과 지역사회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첨예한 이슈이다. 수압파쇄 기술의 발전으로 미국은 막대한 셰일층의 석유와 천연가스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국내 에너지 생산량이 급증하여 세계 시장에서 유가와 가스가 하락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혁명의 이면에는 지하수 오염, 지진 유발, 온실가스 배출 등의 환경적 우려와 지역 사회 영향, 그리고 이를 둘러싼 정책 및 규제 논쟁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본 글에서는 수압파쇄의 환경적 영향과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 이슈를 둘러싼 정책 논쟁과 언론 보도 ..

데이타베이스/철학 및 사회 변화 2025. 3. 6. 07:55

정책서사 프레임워크의 이해 : 정책을 움직이는 이야기

1. 배경 현대 정책 과정에서는 이야기(narrative)가 놀라울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복잡한 통계나 건조한 수치보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공감과 감정을 이끌어내는 스토리입니다. 특히 환경이나 에너지와 같은 가치 충돌이 빈번한 분야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기후 변화 시위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There's No Planet B(지구를 대체할 행성은 없다)"라는 감성적 슬로건만 보더라도, 정책 담론에서 이야기의 중요성을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한 이론이 바로 정책서사 프레임워크(Narrative Policy Framework, NPF)입니다. 이 글에서는 NPF의 전체적인 개요와 형성 배경, 핵심 개념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특..

데이타베이스/철학 및 사회 변화 2025. 3. 5. 22:26

(논문 번역 및 요약) 버닝맨의 교훈 : 모임과 관객 개발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1. 들어가며 “이것은 당신의 버닝입니다.” 버닝맨(Burning Man)에 대해 조금이라도 들어본 적이 있다면, 이 문장을 곧잘 접했을 겁니다. 이 말은 버닝맨의 독특한 정신을 한마디로 보여주는데, “여기서 일어나는 모든 경험은 바로 당신 자신만의 이야기”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버닝맨은 미국 네바다 사막 한가운데에서 매년 약 일주일 동안 열리는 축제입니다. 뉴스를 통해, 혹은 인터넷 사진으로 접하면, “사막에서 사람들이 기이한 옷을 입고 춤추고, 파격적인 행동을 하며, 약물을 쓰고, 옷을 벗고 돌아다니는 곳” 정도로 보일 수도 있지요. 단지 그 외양만으로 “이상하고 과격한 파티”라고 넘기기엔, 버닝맨이 담고 있는 의미와 가치가 훨씬 깊습니다. 버닝맨은 하나의 거대한 예술 축제인 동시에, 커뮤니티와 ..

데이타베이스/철학 및 사회 변화 2024. 12. 26. 17:31

가격 안정성: 가격 안정성과 고객 충성도 - 비즈니스 관점

가격 안정성에 대한 소개 비즈니스 환경에서 가격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시장의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미묘한 균형은 단순히 가격을 고정하거나 묶어두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장 요인을 신중하게 고려해 전략적으로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달성됩니다. 특히 가격 변동이 고객 유지와 확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 분야에서는 이 개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됩니다. [시장 역학(Market Dynamics)]시장의 변화 흐름을 이해하는 일은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기술 산업은 빠른 혁신 속도 때문에 가격 변동이 자주 일어납니다. 기업은 이러한 변화를 세심하게 관리해야 하며, 잦은 가격 변동이 고객에게 신뢰 부족이나 불공정한 인상으로 비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

데이타베이스/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2024. 12. 17. 10:07

포스트모던 브랜딩 : 기업-소비자 관계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1. 들어가며: 왜 포스트모던 브랜딩인가? 최근 수십 년간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관계가 근본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과거 근대적(Modern) 소비문화에서는 기업이 상품과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면, 소비자는 이를 비교적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패턴이 일반적이었습니다. 당시 기업은 마치 ‘문화적 권위자’처럼 소비자 취향과 욕망을 형성할 수 있다는 믿음 아래, 기능적 효용과 광고를 통해 시장을 주도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러한 단순한 관계에서 벗어나, "포스트모던 브랜딩(Postmodern Branding)"이라 불리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소비자가 단순히 기업 메시지를 수용하는 객체가 아니라, 브랜드를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능동적 주체로 등장함을 의미합니다. 즉, 포스트모던 브랜딩..

데이타베이스/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2024. 12. 9. 22:00

(논문 번역) 브랜드는 왜 문제를 일으키는가? 소비자 문화와 브랜딩에 대한 변증법적 이론

1. 도입 오늘날 브랜드는 새롭게 부상하는 대항문화운동의 거센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운동의 등장 배경과 잠재적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 문화와 브랜딩에 대한 변증법적 이론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소비자 저항 이론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먼저, 현대 사회에서 마케터들에게 문화적 권위를 부여해 온 소비자 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된 ‘문화 공학’ 브랜딩 패러다임의 발전 과정을 추적합니다. 이 패러다임은 브랜드를 통해 소비자의 욕망을 창출하고 조작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그 내부에 내재된 모순으로 인해 점차 그 효과를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이어서, 브랜드를 통한 개인적 주권 추구를 지향하는 포스트모던 소비자 문화의 특징을 살펴봅니다...

데이타베이스/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2024. 12. 9. 18:41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재생에너지 수소와 파생물의 제도적 기반 구축

1. 국제 표준화와 인증 체계의 확립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 시장의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는 국제적인 표준과 인증 체계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체계는 수소 생산의 환경성을 측정하고 검증하는 일관된 기준을 제공하며, 특정 배출 기준의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국제 표준은 재생에너지 수소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형성하여 국제 무역을 촉진하고, 인증 및 검증 절차를 통해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1.1 수소 관련 표준화 현황과 과제 현재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자체적인 수소 지속가능성 표준과 인증 제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를 위한 것이지만, 녹색 수소 표준(Green Hydrogen Standard), CertifHy, 제..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5. 11:12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물리적 인프라 구축 방안

물리적 인프라 구축 요건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암모니아, 메탄올, 케로젠)의 국제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전체 가치사슬에 걸친 물리적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생산, 저장, 유통, 최종 사용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자원 가용성과 인프라 개발 계획 재생에너지 수소와 그 파생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전력과 물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며, 메탄올과 케로젠의 경우 지속가능한 탄소 공급원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해 수소 생산 설비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의 확충이 필요하며, 전력망의 확장과 개발도 수반되어야 합니다. 또한 각 파생물의 생산을 위한 전용 플랜트 시설 투자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은 장기 에너지 시나리오(LTES)와 에너지 시스템..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4. 09:37

(재생에너지 수소 및 수소 파생물 글로벌 무역 활성화) 시장개요- 수소 파생물

1. 암모니아 1.1 암모니아 시장의 현황과 미래 전망 암모니아는 현재 전 세계 생산량의 85%가 합성 질소 비료 생산에 사용되는 핵심 화학물질입니다. 현재 암모니아 생산으로 인한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5억 톤으로,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를 차지합니다. 또한 전 세계 수소 수요의 45%가 암모니아 생산에 투입되어, 수소의 두 번째로 큰 수요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으로의 전환은 화학 산업의 탈탄소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IRENA의 전망에 따르면, 2050년까지 암모니아 시장 규모는 6억 8,8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농업용 비료, 선박 연료, 수소 운반체로서의 수요 증가에 기인합니다.  1.2 생산 ..

데이타베이스/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2024. 11. 23. 21:5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20
다음
Tinge of Soul
틴지오브소울 © Tinge of Soul Story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