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12) N
    • Curated by Tinge of Soul (1)
    • Curation & Gallery (2)
    • Our Growth Journal (10)
    • Executive Summary (4)
    • Local Stories (0)
    • Carpe Diem (49)
      • Tea Story (14)
      • Our Diary (8)
      • scribble(끄적임) (27)
    • 데이타베이스 (236) N
      • 큐레이션 (63)
      •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53)
      • 차(茶) 관련 자료 (64)
      • 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41)
      • 철학 및 사회 변화 (6)
      • 트렌드 변화 (0)
      • 로컬 활성화 (3) N
      • 문화 (6)
    • 트렌드 분석 (4)
      • 기업분석 (2)
      • 시장분석 (2)
    • English version (5)
      • Tea Story (0)
      • Curation (3)
      • Brand Story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4] 새로운 형태의 뉴스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3] 창조의 주체는 사라지지 않는다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2] 음악을 추천하는 스포티파이와 앰비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1] 믹싱 음악의 유형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 문화를 큐레이션하라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 세상을 큐레이션하라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6] 큐레이션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5] 커피를 큐레이션하다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4] 와인을 큐레이션하다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3] 이탈리, 미래형 슈퍼마켓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2] 명시적 큐레이션과 암시적 큐레이션

    2023.06.17 by TOS_lab

  •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1] 큐레이션 경제 건설

    2023.06.17 by TOS_lab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4] 새로운 형태의 뉴스

저널리즘의 변화 - "작성하는 것"에서 "엮어내는 것"으로  각종 기기의 연결성이 증대되면서 일반시민이 담아낸 영상은 보조적인 위치에서 주요 정보로 승격했다. 기존의 뉴스조직은 들어온 정보를 확인하고 이 정보를 재구성해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어낸다. 뉴스조직은 여전히 상당한 권력 및 신뢰를 갖고 있으며 전문적인 기술과 기반 시설,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뉴스조직은 여전히 중요하나 다만 기존의 보도형식에서 기사 모음 형태로 바뀌었을 뿐이다.  예전의 보도형식은 정보를 수집하고 변환하는 방식이였지만, 지금은 시시각각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분석하여 온전한 스토리를 만드는 큐레이션의 과정을 거친다. 콜롬비아대학교 토우센터의 한 보고서에서는 이런 뉴스 미디어의 새로운 모습을 "탈 산업사회 저널리즘"으로 명명하였..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9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3] 창조의 주체는 사라지지 않는다

큐레이션이 문화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문화와 미디어의 방송모델(Broadcast Model)은 죽어가고 있다. 기존의 일방향적인 미디어 생산 및 공급 모델은 소비자 큐레이션 모델에 자리를 빼앗기고 있다. 1980년대까지만해도 대부분의 시청자는 고작 3개 정도의 채널 선택권밖에 없었다. 위성혁명과 함께 더 많은 채널이 생겨났으며 현재는 인터넷의 등장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호황으로 사전 스케쥴로 내보내는 전통적인 형태의 방송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누가, 무엇을, 언제 볼 것인지 결정하는 문제는 이제 그 주체가 방송국에서 시청자로 넘어왔다. 일방적인 공급이 아닌 쌍방향적이며서 협업 방식의 모델로 진화하였다. 이는 출판계도 유사하다. 과거 막강했던 편집자와 출판사의 권한은 축소되었으며 판매자와 리뷰자가 ..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9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2] 음악을 추천하는 스포티파이와 앰비

기술발전과 음악감상 인쇄기 이전에 음악은 라이브 연주 및 사람들의 머릿속에 저장된 가락 정도였다. 인쇄기 발명이후 악보는 널리 퍼져나갔고 광범위하게 연주되기 시작했다. 1877년 토머스 에디슨이 측음기를 발명하면서 실제연주와 음악감상은 분리되었다. 이제 음악이란 얼마든지 복제와 재생이 가능한 위치로 낮아지고 음악은 더 이상 최상류층의 전유물이 아니게 되었다. 음악은 문화의 중심이 되었으며 이는 개인적 정체성의 핵심으로 부상하였다. 즉, 음악은 거대 글로벌 산업으로 변화하였다. 컴팩트 디스크가 나오면서 이전보다 훨씬 쉽게 많은 음악을 저장하고 들을 수 있게 되었다.  MP3와 같이 음악이 디지털화되면서 기존의 질서는 완전히 무너졌다. 음악파일은 즉각적으로 복제되고 유통되었다. 음악산업의 규모는 더욱 커졌으..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9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1] 믹싱 음악의 유형

1970년대, 사우스 브롱크스 쿨허크(Kool Herc)는 1970년 대 뉴욕에서 생활했던 자메이카 사람이며 빈곤과 폭력, 범죄가 만연했던 세즈윅가 1520번지에서 브레이크비트라는새로운 힙합 장르를 만든 창시자이다. 그는 강한 펑크음악에 비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사람들은 간주 부분의 비트에 사람들이 열광한다는 사실을 알아챘고, 같은 곡의 간주 부분을 하나로 연결해 브레이크 길이를 늘리는 브레이크비트라는 새로운 음악을 탄생시켰다.  브레이크비트의 사운드는 매우 독특했으나 이는 믹싱작업에 불과했다.  그러나 믹싱이라는 장르를 통해 새로운 창조성을 이끌어 냈고 믹싱은 하나의 음악적 장르로 거듭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슈퍼스타 DJ 들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초대형 DJ들이 음악계를 장악..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8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2] 문화를 큐레이션하라

생산자와 소비자 측면에서 문화와 큐레이션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생산자 - 창조성은 광범위한 조합과 패턴의 일부이다. 힙합에 새로운 비트를 믹싱하여 브레이크비트라는 새로운 힙합장르가 생겨났다. 또한, 이런 음악류에 열광하는 사람들로 인해 DJ라는 직업이 각광받고 있으며 일부 음악트렌드는 DJ의 믹싱을 통해 선도된다.엑스엘레코딩스(XL Recordings)는 뛰어난 아티스트를 선별하는 역량을 통해 최고 수익을 거두는 레코딩사로 발돋움했다. 즉, 선별과 조합은 문화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 이제 창조성은 새로운 것의 창조가 아닌 광범위한 조합을 의미한다. 단순한 조합은 수많은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생성되게 해주며 초연결된 사회에서 이런 콘텐츠는 쉽게 유통된다. 이러한 환경은 전통적인 미디어 기업 즉, 일방적으..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8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 세상을 큐레이션하라

큐레이션 경제란? 큐레이션 경제란 큐레이션 전략을 국가의 주요 정책으로 삼아 경제의 가치체인을 상승시켜 지역 개발에 새로운 역동성을 부여하는 경제체계를 의미한다.  아부다비를 그 예로 들고 있다. 아부다비의 사디야트 섬에는 중동의 세계적 박물관 건립 하는 등 문화특구를 개발하여 아부다비의 가치를 한 단계 올리고자 한다. 시디야트 홍보 담당자는 설명은 다음과 같다.  "아부다비의 사디야트 섬은 역사, 예술, 관광, 개발 및 다양한 지역 주민이 만나는 완벽한 교차 지점에 위치해 있다. 문화적 생태게를 구축하는 것은 아부다비가 품고 있는 문화적 포부를 이룩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를 위해 아부다비는 각종 전시, 워크숍, 세미나, 국제적 규모의 연례 미술 박람회는 물론 세계 각국의 학생, 컬렉터, 관..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7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6] 큐레이션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

소비자 트렌드로서의 큐레이션과 그 영향 식료품과 와인, 커피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소비자들은 큐레이션을 선호한다. 한 가지 코스요리나 단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음식점들 또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즉, 소비자들은 큐레이션이 완료된 경험을 원한다. 이런 소비트렌드의 변화는 관련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솔로우푸드 관련 네트워크 및 소매업체는 어떤 식재료를 어디에 납품할 것인지에 대해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그들은 각 기준에 따라 "선별"하여 그 기준에 부합하는 최상의 재료를 공급한다. 음식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는 변했다. 과거에는 나라별 경계 속에서 음식을 선택하였지만 이젠 자유롭게 메뉴를 고른다. 우리는 중국음식, 멕시코 요리 이렇게 선택하지 않으며 중국의 딤섬, 또는 사천의 훠궈 같이 더욱..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7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5] 커피를 큐레이션하다

커피산업의 변화 커피는 석유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교역이 이루어지는 상품이다. 이것은 곧 주요 커피생산국인 브라질, 콜롬비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나라에서 커피는 주요 수출품임을 의미한다. 커피시장의 주요 트렌드 변화는 수백만 명의 생산자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제 3의 물결"은 커피산업에서 어떠한 트렌드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커피의 대중화라는 제1의 물결은 19세기에 시작되었다. 19세기 후반 커피숍이 생겨나면서 사람들이 커피는 즐기는 방식이 변화했다. 제2의 물결은 스타벅스와 같은 커피문화로 대변되는 브랜드다. 2000년도에 들어 제3의 물결이 시작됐다. 제3의 물결 커피는 이제 하나의 카페인이 든 음료수가 아니다. 제3의 물결은 커피 생산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 전문가의 선별에..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7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4] 와인을 큐레이션하다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페인, 칠레 등 수십 종의 포도와 지역별 특성, 크고 작은 다양한 생산자들이 겹쳐 와인의 수는 무척이나 다양하다. 이것이 왜 와인이 큐레이션 대상이 됐는지, 왜 레스토랑에는 소믈리에가 있는지, 그리고 왜 와인 판매상은 일반 소비자의 와인선택에 도움을 주는 지 등의 이유를 잘 설명해 준다. 와인의 종류를 큐레이션하지 않았다면 전세계 와인 시장은 결코 차별화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더 많은 와인을 가질수록, 더 많은 나아세어 더 많은 이들이 와인을 생산할 수록, 더 많은 혁신이 일어날수록, 와인과 관련된 문화가 더욱 풍성해질수록 복잡성은 함께 증대되고 동시에 와인가치에 대한 큐레이션 필요성 역시 커진다. 와인의 특성과 맛 역사에 따른 제안은 와인의 문화를 풍부하게 해주며 소비자들이 와인..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6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3] 이탈리, 미래형 슈퍼마켓

느린것의 미학 - 슬로우 푸드 운동 "슬로우푸드(Slow Food) 운동"은 지역에서 생산된, 전통방식의 자연 식재료를 주로 사용하며 단일문화 및 균질성, 화학 첨가물 사용에 반대하는 운동이다. 이탈리아의 페트리니는 20여년 전 패스트푸드에 밀려 최고의 맛과 다양한 음식들이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이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페트리니는 기존의 슈퍼마켓에 다소 변화를 줌으로써 슬로우 푸드 운동이 사업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생산지와 매장간의 거리를 좁히고 최고의 생산자를 찾아내어 신뢰관계를 구축하여 각종 식료품 매장이 한 자리에 모이고 최고의 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는 직판장을 구상했다. 이 구상은 2004년 이탈리(Eataly)라는 브랜드를 설립하고 2007년 첫 매장을 열면서 현실이 ..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6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2] 명시적 큐레이션과 암시적 큐레이션

전통적인 경제활동 경제학자들은 전통적으로 경제 활동을 몇 가지 주요 영역으로 구분한다. 가장 하위 영역은 1차 경제 활동으로, 이는 농업과 같은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활동을 의미한다. 먹는 것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필요로서, 대부분의 인류 역사에서 1차 경제 활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거의 모든 사람들이 농경에 종사했으며, 논밭을 소유한 사람이 대다수의 부를 소유했다. 이와 같은 논리는 광물 자원과 같은 원료의 이용에도 적용된다. 또한 사냥, 채집, 낚시, 삼림 채취, 채굴 등도 이와 같은 논리에 따라 분류된다. 2차 경제 활동은 주로 제조업과 관련된다. 전형적인 블루칼라 직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1차 경제 활동에서 생산되고 추출된 원료가 2차 경제 활동을 통해 다른 형태로 진화하고 증가..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6

[과감히 덜어내는 힘, 큐레이션 4.1.1] 큐레이션 경제 건설

아부다비: 중동의 대규모 도시 개발 프로젝트 아부다비는 중동지역에서 현재 건설 중인 도시로, 다른 대규모 프로젝트와 비교해도 그 규모와 중요성에서 뒤지지 않는다. 사디야트섬은 면적이 27제곱킬로미터가 넘는 대규모 도시로, 아부다비 본토와 셰이크 칼리파 대교를 통해 연결되며, 전세계에서 가장 큰 기반시설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이 대교는 1.4킬로미터 길이에 10차선 도로로 구성되었으며, 1만5,500톤의 보강철이 사용되었다. 사디야트섬의 도시가 완공되면 최소 15만명의 인구가 푸르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게 될 것이다. 사디야트섬: 사람이 사는 곳에 초점을 둔 도시 구축 사디야트섬은 해변구역, 정박구역, 동물 보호구역 등의 목적에 따라 구역이 분리되며, 5성급 호텔부터 뉴욕 대학교와 같은 학교까지 다양한..

데이타베이스/큐레이션 2023. 6. 17. 01:2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nge of Soul
틴지오브소울 © Tinge of Soul Story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