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67] 차노유
나는 이같은 비전서의 법식들을 하나의 출발점으로 삼아, 좀 더 높은 차원으로 나아가고자 하여 대덕사와 남종사의 스님들께 열심히 참선을 배우고 아침저녁으로 선종의 철규를 기본으로 삼아 정진했다. 그로부터 사원의 양식을 간략화하고, 노지의 경계, 정토세계를 열고, 다다미 2첩 짜리의 작은 초암 다실의 소박한 다도를 만들어냈다. 땔감을 장만하고, 물을 길어 나르면서 수행의 의미를 깨닫고, 차 한 잔의 참맛을 겨우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 난보 소케이 차의 대가 센노 리큐가 죽은 이후, 다도의 영적 미학적 추구는 여러 파벌을 낳았다. 그들 중 우라센케, 오모테센케, 무샤노코지센케는 리큐의 증손자 셋에 의해 형성된 다도 일파이다. 서양에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우라센케류로 리큐가 그의 아들에게 물려준 차 수행법을..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9. 17.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