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11)
    • Curated by Tinge of Soul (1)
    • Curation & Gallery (2)
    • Our Growth Journal (10)
    • Executive Summary (4)
    • Local Stories (0)
    • Carpe Diem (49)
      • Tea Story (14)
      • Our Diary (8)
      • scribble(끄적임) (27)
    • 데이타베이스 (235)
      • 큐레이션 (63)
      •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53)
      • 차(茶) 관련 자료 (64)
      • 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41)
      • 철학 및 사회 변화 (6)
      • 트렌드 변화 (0)
      • 로컬 활성화 (2)
      • 문화 (6)
    • 트렌드 분석 (4)
      • 기업분석 (2)
      • 시장분석 (2)
    • English version (5)
      • Tea Story (0)
      • Curation (3)
      • Brand Story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동방미인

  • 동방미인(東方美人) 우롱차 역사와 특성

    2025.03.06 by TOS_lab

  • (리서치용) 콜드브루 차 : 떫은맛 완화와 풍미 향상의 과학적 접근

    2025.03.03 by TOS_lab

  • (전략 보고서 - 리서치용) 대만 우롱티 프랜차이즈 시장분석 보고서

    2025.03.01 by TOS_lab

  • [자료 #61] 동방미인 또는 귀비 우롱차의 꿀향의 비밀

    2023.09.10 by TOS_lab

  • [자료 #43] 아시아의 차 재배국

    2023.06.08 by TOS_lab

동방미인(東方美人) 우롱차 역사와 특성

1. 탄생 배경: 전설과 이름의 유래  동방미인 차의 기원은 19세기 말 대만(당시 포모사/Formosa)의 차 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대만 북부 신주(新竹)와 묘리(苗栗) 일대에 정착한 하카(客家)족 농민들은 중국 본토로부터 전해진 우롱차 제조 기술을 적용해 차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그중 한 농민이 해충 피해를 입은 찻잎을 버리지 않고 시도 삼아 차를 만들어 본 결과, 놀랍도록 뛰어난 향미가 나는 특별한 차가 탄생했습니다. 이 농민은 그 차를 시장에 내다 팔았고 생각지도 못한 고가에 판매했는데, 마을 사람들은 그가 허풍을 떤다고 놀려 이 차를 ‘펑펑차(膨風茶, 허풍차)’라고 불렀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오늘날에도 동방미인 차를 현지에서는 펑펑차 혹은 펑퐁차(椪風茶), 혹은..

Carpe Diem/Tea Story 2025. 3. 6. 09:03

(리서치용) 콜드브루 차 : 떫은맛 완화와 풍미 향상의 과학적 접근

1. 들어가는 말 뜨거운 물 대신 찬물이나 상온의 물로 오랫동안 우려내는 냉침차(cold-brewed tea)는 현대 차 문화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부드럽고 단맛이 도는 이 차는 전통적인 뜨거운 차보다 떫은맛과 쓴맛이 적어 많은 이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시원하게 즐길 수 있으며, 대만을 비롯한 아열대 지역에서는 편의점부터 전문 찻집까지 널리 퍼져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냉침 방식이 어떻게 맛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그 과학적 메커니즘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2. 냉침차의 과학적 기초 2.1 폴리페놀 추출 역학 차의 떫은맛과 쓴맛을 결정짓는 주요 성분은 차 폴리페놀(특히 카테킨류)과 카페인입니다. 높은 온도의 물에서는 이들 성분이 빠르고 많이 우러나 뜨거운 차가..

Carpe Diem/Tea Story 2025. 3. 3. 16:56

(전략 보고서 - 리서치용) 대만 우롱티 프랜차이즈 시장분석 보고서

1. 시장 규모 및 성장 동향 대만의 우롱티 프랜차이즈 시장(주로 버블티 등 손으로 흔들어 만드는 음료 전문점)은 최근 수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대만 전역에는 약 16,070개의 음료 매장이 운영 중이며, 이는 최근 1년간 월 평균 40개 이상 신규 매장이 문을 연 결과입니다. 이러한 점포 수 증가는 대만 내 모든 업종 중에서도 가장 빠른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시장 매출 규모 또한 꾸준히 확대되어, 2021년 약 924억 신타이완달러(NTD) (약 3.3억 달러)였던 냉·온 차 전문점 총매출이 2024년에는 1,300억 NTD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COVID-19로 잠시 주춤했던 2020~21년의 정체를 딛고, 2022년 +11.9%, 2023년 +7.7%의..

트렌드 분석/시장분석 2025. 3. 1. 23:44

[자료 #61] 동방미인 또는 귀비 우롱차의 꿀향의 비밀

차나무는 역경에 처하면 자연적으로 쓰고 떫은맛의 성분을 생성시켜 곤충의 멋잇감이 되는 것에 대항한다. 그러나 차나무는 곤충에 찻잎이 물렸을 때 항상 쓰고 떫은맛을 내는 성분만 신진대사로 생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곤충에 따라서 다른 성분들도 생성시킨다. 도원현, 신죽현, 묘율현의 세 지역을 대표하는 대만 특유의 우롱차로 흔히 동방미인(東方美人)으로 더 잘 알려진 백호우롱(白毫烏龍)에서 매혹적인 꿀향이 나는 것도 바로 이 차나무가 겪는 역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오절이 지나면 대만은 온난하고 습한 기후를 보인다. 이 시기에 다원에서는 수많은 곤충들이 왕성하게 활동한다. 그중에 크기가 매우 작고 찻잎 사이를 뛰어다니는 곤충이 있는데, 이를 소록엽선(小祿葉蟬)이라 한다. 소록엽선은 따뜻하고 습한 여름과 가을의..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9. 10. 00:03

[자료 #43] 아시아의 차 재배국

주요 재배국 외에 약 12개국의 아시아 국가에서도 차를 재배한다. 타이나 라오스터럼 일부 국가는 중국의 영향으로 차 문화가 개발되었고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처럼 식민지 시대의 영향으로 또는 식민지 독립 후에 영향을 받아 차 문화가 발전한 국가도 있다. 이 나라들의 차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기구와 재배하는 차의 종류도 이에 영향을 받았다. 타이 타이의 차 재배는 1980년대에 북쪽의 메살롱 지역에 정착한 중국인 공동체에 의해 도입되었다. 타이완의 차나무와 고유 기술을 바탕으로 매우 좋은 품질의 반산화차를 소량 생산한다.  라오스라오스 남부에서 가격 하락의 영향을 받은 소규모 커피 생산자가 감소한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커피나무 사이에 차나무를 심었다. 중국 국경과 맞닿은 북쪽에서는 차 재배가 오랫..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6. 8. 23: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nge of Soul
틴지오브소울 © Tinge of Soul Story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