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11)
    • Curated by Tinge of Soul (1)
    • Curation & Gallery (2)
    • Our Growth Journal (10)
    • Executive Summary (4)
    • Local Stories (0)
    • Carpe Diem (49)
      • Tea Story (14)
      • Our Diary (8)
      • scribble(끄적임) (27)
    • 데이타베이스 (235)
      • 큐레이션 (63)
      •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53)
      • 차(茶) 관련 자료 (64)
      • 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41)
      • 철학 및 사회 변화 (6)
      • 트렌드 변화 (0)
      • 로컬 활성화 (2)
      • 문화 (6)
    • 트렌드 분석 (4)
      • 기업분석 (2)
      • 시장분석 (2)
    • English version (5)
      • Tea Story (0)
      • Curation (3)
      • Brand Story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역사

  • [백자 #2] 백자항아리의 특징과 변천 : 15 ~ 16세기

    2023.07.06 by TOS_lab

  • [자료 #30] 홍차의 특징

    2023.06.08 by TOS_lab

  • [자료 #18] 일본차의 역사

    2023.06.08 by TOS_lab

  • [자료 #17] 중국차의 역사

    2023.06.08 by TOS_lab

[백자 #2] 백자항아리의 특징과 변천 : 15 ~ 16세기

조선시대의 백자는 불교적 색체의 고려시대 청자와 비교하여 유교 문화를 상징하는 대명사로 흔히 일컬어진다. 신흥 왕조의 주체세력인 성리학자들의 내면 정신세계가 순백자에 투영되어 나타났다고 할 수 있으며, 조선백자의 대부분이 그러하듯 항아리 형태 면에서도 신흥 왕조의 활기찬 기풍을 반영하듯 전체적으로 기운이 넘치면서 당당한 형태의 순백자 항아리가 만들어졌다. [그림 1]의 "백자 항아리"는 입구는 외반하면서 끝이 말려있고 어깨 부분이 둥글게 팽창되었다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좁아지는 입호 형태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항아리로 뚜껑을 갖춘 [그림 2]와 같은 "백자 항아리"가 있다. 뚜껑에는 보주형의 손잡이가 달려 있으며 손잡이를 중심으로 얕게 2단의 동심원이 형성되어 있다. 굽 안 바닥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

데이타베이스/문화 2023. 7. 6. 16:12

[자료 #30] 홍차의 특징

홍차는 85% 이상 산회된 완전산화차로 찻잎의 폴리페놀 성분이 산화효소의 영향으로 화학반응이 가속되어 차황소(데아플라빈, theaflavin), 차홍소(데아루비긴, thearubigin), 차갈소(데아브로우닌, theabrownine) 성분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독특한 향과 맛을 형성하여 생엽에서 약 50가지의 향미물질이 300여 가지로 증가하고 카페인을 일부 함유하고 카테킨(catechin)과 데아플라빈의 결합으로 홍차만의 찻잎 색, 탕색, 달콤한 맛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홍차의 특징을 홍탕홍엽(紅湯紅葉)이라고 한다. 즉, 홍차의 명칭이 한자로는 탕색과 붉은 찻잎의 색으로 홍차로 부르지만, 서양에서는 완전히 산회된 찻잎이 검은색을 나타내어 'Black Tea'로 부르며 'Red Tea'는 루이보스..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6. 8. 23:46

[자료 #18] 일본차의 역사

차의 전래 일본차의 전래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8세기경 중국에서 유학했던 승려들이 당시 당나라의 음다풍속과 음다법을 체험하면서 전파했다는 설이 있다. 일본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일본후기(日本後記)”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815년경 사가천황(사가천황 786 ~ 842)은 승려 에이추(743 ~ 816)가 직접 달여 준 차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이 시기에 승려 에이추와 구카이(774 ~ 835)은 일본에 처음 차나무를 전파한 인물들로 알려져 있다. 승려 에이사이(1141 ~ 1215)가 송나라의 말차 방식을 전파하였고 씨앗을 들여와 재배를 시작하였다. 특히, 에이사이는 1214년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효능을 비롯한 차의 모든 지식을 담은 “끽다양생기”를 편찬하였다. 끽다(喫茶)[1]풍습은 13세..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6. 8. 23:33

[자료 #17] 중국차의 역사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차문화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나라는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과 일본이다. 중국으로부터 전파된 차문화는 자국의 문화와 국민적 정서의 영향을 받으며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된다. 한국은 차의 맛을, 중국은 향기를, 일본은 색깔을 중시한다. 또한, 한국의 차례(茶禮)로서 예의를 강조하고, 중국은 다예(茶藝)라고 표현할 만큼 예술의 경지로 승화하였고, 일본은 다도(茶道)로서 규격화된 법도로서 발전해 왔다. 중국차의 역사 중국차의 역사는 태동기 → 발전기 → 번영기 → 중흥기 → 쇠퇴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중국차는 “당나라 때 흥하기 시작해 송나라 때 전성기를 맞았다.”라고 할 만큼 당과 송은 중국차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신농씨가 차를 발견하였고, 당나라 시대 7..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6. 8. 23: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nge of Soul
틴지오브소울 © Tinge of Soul Story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