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12) N
    • Curated by Tinge of Soul (1)
    • Curation & Gallery (2)
    • Our Growth Journal (10)
    • Executive Summary (4)
    • Local Stories (0)
    • Carpe Diem (49)
      • Tea Story (14)
      • Our Diary (8)
      • scribble(끄적임) (27)
    • 데이타베이스 (236) N
      • 큐레이션 (63)
      • 에너지 및 기후 관련 자료 (53)
      • 차(茶) 관련 자료 (64)
      • 스타트업 생존 전략 관련 (41)
      • 철학 및 사회 변화 (6)
      • 트렌드 변화 (0)
      • 로컬 활성화 (3) N
      • 문화 (6)
    • 트렌드 분석 (4)
      • 기업분석 (2)
      • 시장분석 (2)
    • English version (5)
      • Tea Story (0)
      • Curation (3)
      • Brand Story (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찻잎

  • [자료 #60] 차나무의 다각적 이해

    2023.08.30 by TOS_lab

  • [자료 #60] 차꽃과 차씨

    2023.08.28 by TOS_lab

  • [자료 #59] 찻잎

    2023.08.27 by TOS_lab

  • [Tea x 탐구] 찻잎의 변신

    2023.05.24 by TOS_lab

[자료 #60] 차나무의 다각적 이해

1. 차나무의 크기에 따른 분류 차나무는 크기에 따라 '교목형(喬木型)'과 '관목형(灌木型)'의 두 종류와 구분 할 수 있다. 교목형의 차나무는 본줄기가 뚜렷하고 가지가 다시 본줄기에서 나오기 때문에 높이가 15 ~ 30m 까지 자라고, 본줄기의 기저부는 1.5m까지 자랄 수 있다. 교목형 차나무는 매우 높고 크게 자랄 수 있지만 사람들이 쉽고 빠르게 찻잎을 따기 위해 가지치기로 다듬기 때문에 다원에서는 보통 키가 작다. 이렇게 왜소화된 교목형 차나무는 '소교목형(小喬木型) 차나무'라고 한다. 그러나 가지치기로 왜소해졌지만 차나무가 점차 성숙함에 따라 밑동에서는 줄기 모양을 관출할 수 있다. 관목형 차나무는 본줄기가 뚜렷하지 않고, 지면에 가까운 밑동 근처에서 가지가 자라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는 높이가 비..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8. 30. 12:39

[자료 #60] 차꽃과 차씨

차나무는 '자웅동체(hermaphrodite)'에 속하는 식물이지만, '이화수정(xenogamy)'의 식물이기도 하다. 이때 자웅동체는 한 나무에 수술과 암술이 모두 있는 상태를 뜻하고, '이화수정'은 한 나무가 번식을 위해서는 다른 개체나 품종의 꽃으로부터 수분을 통해 수정이 되어야 비로서 씨앗을 형성하여 번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즉 같은 차나무나 같은 품종의 꽃을 통한 '자가수정(autogamy)'을 통한 번식은 성공확률이 낮다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모든 차나무에는 '어미나무'와 '아비나무'가 있다는 뜻이다. 차나무의 주요 개화기는 매년 11월에서 2월 사이이다. 차나무의 녹색 꽃받침에는 5 ~ 7편의 하얀 꽃잎이 자라고, 꽃잎 가운데에는 가늘고 기다란 황금빛의 꽃술이 나이 있다. 차나무의 꽃이..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8. 28. 10:16

[자료 #59] 찻잎

차나무는 사계절 내내 녹색을 끼는 상록 활엽수이기 때문에 찻잎은 항상 녹색이다. 어린 새싹은 안쪽으로 돌돌 말려 있어서 잎의 뒷면이 밖을 향하고 있다. 그 잎의 뒷면에는 하얗고 미세한 잔털이 촘촘히 나 있다. 새싹이 자라서 잎이 서서히 펴지면 잎의 뒷면이 자연스레 아래쪽을 향하면서 잔털이 서서히 떨어져 나간다. 성숙한 찻잎의 경우에는 외관이 길고 가늘거나 넓은 타원의 형태를 띈다. 찻잎의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을 이루고, 잎에서 잎맥이 돌기 시작하여 중앙부의 세로로 뻗어 나가는 주맥(主脈)에서 7~10쌍의 옆으로 분기하는 측맥(側脈)이 뚜렷하게 뻗어 나간다. 측맥은 주맥으로부터 어느 정도까지 뻗어 나가다가 위쪽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닫히는 폐곡선을 이룬다. 차나무 가지의 찻잎들은 햇빛을 충분히 받아 광합성을..

데이타베이스/차(茶) 관련 자료 2023. 8. 27. 09:54

[Tea x 탐구] 찻잎의 변신

녹차와 청차, 홍차, 백자, 흑차 등은 모두 똑같은 차나무의 잎을 사용한다는 걸 아시나요? 똑같은 차나무여도 그 기후와 재배방법에 따라 맛이 확연하게 달라집니다. 또, 그런 찻잎을 어떠한 제다방법을 쓰느냐에 따라 새로운 풍미와 향을 가진 색다른 맛을 만들어낼 수 있죠. 섬세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차가 만들어짐을 알게 되면 원하는 맛을 만들기 위해 재배부터 채엽, 제다방법을 모두 섬세하고 꼼꼼히 하는 티마스터의 역량에 감탄을 금할수 없습니다. 위에 사진은 제다 과정 중 찻잎의 변화를 설명한 거에요. 위조(Withering)은 채엽 후 찻잎을 햇빛 아래 또는 그늘에서 말리는 말리는 과정이에요. 찻잎을 연하게 하고 또 찻 잎의 신선한 향과 꽃향 만듭니다. 산화단계(Oxidation)에서는 찻잎의 세포를 파괴하..

Carpe Diem/Tea Story 2023. 5. 24. 00: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nge of Soul
틴지오브소울 © Tinge of Soul Story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