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지오브소울 이야기
-
정책의제 설정과 단절적 균형 이론의 정보처리적 확장
1. 서론: 안정과 급변을 설명하는 단절적 균형 이론 정책과 정치 분야에서 단절적 균형 이론(Punctuated Equilibrium Theory, PET)은 장기간의 안정성과 간헐적인 급격한 변화를 동시에 설명하려는 중요한 이론적 틀이다. Baumgartner와 Jones는 1993년 저서 Agendas and Instability in American Politics에서 대부분의 정책이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다가도 때때로 드물게 급격한 변화를 겪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한 정책 분야에서 수십 년간 미미한 변화만 지속되다가, 어느 순간 의제화와 함께 정책 방향이 크게 전환되는 ‘단절’이 발생한다. PET는 이러한 정책 안정기와 격변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정책의제 설정 과정에서 ..
2025.03.21 22:54 -
트로얀과 빅록포인트 원자력 발전소 해체의 경제성 및 정책적 시사점
1. 서론 트로얀 원자력 발전소(이하 트로얀)와 빅록포인트 원자력 발전소(이하 빅록포인트)는 미국에서 상업 가동을 종료하고 해체가 완료된 원전 사례로, 각각 가압경수로형(PWR)과 비등경수로형(BWR)의 대표적 해체 프로젝트이다. 트로얀(1095 MWe 규모 PWR, 오리건주 소재)은 1976년 상업 운전을 시작하여 1993년 조기 영구정지 후 곧바로 해체 절차에 돌입하였고, 사용후연료를 제외한 모든 시설과 토지가 2005년에 규제해제로 공개될 만큼 신속한 해체가 이루어졌다. 빅록포인트(67 MWe BWR, 미시간주 소재)는 1963년 가동을 시작하여 1997년 영구정지된 후 해체를 진행하였으며, 2006년까지 대부분의 부지를 녹지화(greenfield) 상태로 복원하고 2007년 초에 부지의 80% ..
2025.03.13 20:49 -
동방미인(東方美人) 우롱차 역사와 특성
1. 탄생 배경: 전설과 이름의 유래 동방미인 차의 기원은 19세기 말 대만(당시 포모사/Formosa)의 차 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대만 북부 신주(新竹)와 묘리(苗栗) 일대에 정착한 하카(客家)족 농민들은 중국 본토로부터 전해진 우롱차 제조 기술을 적용해 차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그중 한 농민이 해충 피해를 입은 찻잎을 버리지 않고 시도 삼아 차를 만들어 본 결과, 놀랍도록 뛰어난 향미가 나는 특별한 차가 탄생했습니다. 이 농민은 그 차를 시장에 내다 팔았고 생각지도 못한 고가에 판매했는데, 마을 사람들은 그가 허풍을 떤다고 놀려 이 차를 ‘펑펑차(膨風茶, 허풍차)’라고 불렀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오늘날에도 동방미인 차를 현지에서는 펑펑차 혹은 펑퐁차(椪風茶), 혹은..
2025.03.06 09:03 -
미국의 수압파쇄 논쟁 : 환경 영향, 경제 효과와 정책 서사 분석
1. 서론 미국에서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 흔히 "프래킹(fracking)"으로 불림)는 지난 수십 년간 에너지 생산을 혁신적으로 증가시킨 동시에 환경과 지역사회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첨예한 이슈이다. 수압파쇄 기술의 발전으로 미국은 막대한 셰일층의 석유와 천연가스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국내 에너지 생산량이 급증하여 세계 시장에서 유가와 가스가 하락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혁명의 이면에는 지하수 오염, 지진 유발, 온실가스 배출 등의 환경적 우려와 지역 사회 영향, 그리고 이를 둘러싼 정책 및 규제 논쟁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본 글에서는 수압파쇄의 환경적 영향과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고, 이 이슈를 둘러싼 정책 논쟁과 언론 보도 ..
2025.03.06 07:55 -
정책서사 프레임워크의 이해 : 정책을 움직이는 이야기
1. 배경 현대 정책 과정에서는 이야기(narrative)가 놀라울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복잡한 통계나 건조한 수치보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공감과 감정을 이끌어내는 스토리입니다. 특히 환경이나 에너지와 같은 가치 충돌이 빈번한 분야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기후 변화 시위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There's No Planet B(지구를 대체할 행성은 없다)"라는 감성적 슬로건만 보더라도, 정책 담론에서 이야기의 중요성을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탄생한 이론이 바로 정책서사 프레임워크(Narrative Policy Framework, NPF)입니다. 이 글에서는 NPF의 전체적인 개요와 형성 배경, 핵심 개념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특..
2025.03.05 22:26 -
(리서치용) 콜드브루 차 : 떫은맛 완화와 풍미 향상의 과학적 접근
1. 들어가는 말 뜨거운 물 대신 찬물이나 상온의 물로 오랫동안 우려내는 냉침차(cold-brewed tea)는 현대 차 문화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부드럽고 단맛이 도는 이 차는 전통적인 뜨거운 차보다 떫은맛과 쓴맛이 적어 많은 이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에 시원하게 즐길 수 있으며, 대만을 비롯한 아열대 지역에서는 편의점부터 전문 찻집까지 널리 퍼져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냉침 방식이 어떻게 맛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그 과학적 메커니즘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2. 냉침차의 과학적 기초 2.1 폴리페놀 추출 역학 차의 떫은맛과 쓴맛을 결정짓는 주요 성분은 차 폴리페놀(특히 카테킨류)과 카페인입니다. 높은 온도의 물에서는 이들 성분이 빠르고 많이 우러나 뜨거운 차가..
2025.03.03 16:56